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넥스트
- 전환
- 한화시스템
- data
- 티스토리챌린지
- 한화
- 최보기
- 클라우드
- SaaS
- Digital
- 데이터
- AI
-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 IT
- smart
- 시스템
- public
- NEXT
- factory
- 정해진
- 트랜스포메이션
- Digital Transformation
- 디지털
- DT
- Transformation
- 오블완
- summit
- CIO
- cloud
- Databricks
- Today
- Total
목록factory (7)
Digital Transformation Nomad

When running DT or Smart Factory, many executives and managers want to know where their current level is. And they wonder to what extent they can jump up through DT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y are also curious about the position of peers, competitors, and leaders. They don't necessarily want to be number one, but they want to know where they are now and what level they should be aiming for ..

In the previous article, many people understood Digital Trans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T') as 'IT-based innovation'. In fact, when the term DT is used, it often gives strength to 'change' or 'transformation' in the 'working metho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business model. So, when you come across the term DT in a company, there is no big problem if you unde..

Smart Factory의 해외 현황을 조사할 때 대상으로 삼았던 국가는 미국, 독일, 일본이었습니다. 나라마다 벤치마킹 할 기업을 하나씩 정했는데 일본은 미쯔비시 전기였고 구체적인 장소는 나고야에 있는 카니공장이었습니다. 예전에는 일본하면 최첨단의 상징이고 기술력도 뛰어나고, 초소형/초박형/최대/최고/최신 등 세계 기술을 선도하는 느낌이 강했는데, 2017년에 공장 견학을 갔을 때는 그런 느낌을 받기가 어려웠습니다. 아직도 제조업 강국이고 우수한 경쟁력을 갖고 있지만 요즘은 예전 같은 활력이 있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인 일본은 왜 Smart Factory를 추진하려고 했을까요? 일본어로 '모노즈쿠리'라는 말이 있습니다. Smart Factory 사업을 하면서 처음 들어본 ..

제가 Smart Factory라는 말을 접한 것은 대략 2015년이나 2016년경으로 기억합니다. 지금은 Digital Transformation이란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하지만, 당시에는 Smart Factory라는 용어를 훨씬 더 많이 사용했습니다. 최고 경영진부터 실무자에 이르기까지 모두 자사의 공장을 어떻게 하면 Smart Factory로 만들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지금이야 많은 사람들이 대략이라도 Smart Factory라는 용어에 대한 감을 잡고 있지만, 당시에는 개념도 모호했으며, 우리 공장이 Smart Factory이 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 다들 혼란스러워 했습니다 기억을 되살려 보면, Smart Factory 개념의 출발점은 독일로 기억합니다. 독일에..

Digital Transformation이 화두가 된 초창기에는 도대체 Digital Transformation을 잘했다고 하는 회사가 어디이고, 구체적인 사례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모두가 궁금해 했습니다. Smart Factory, 4차 산업혁명, 인더스트리 4.0 등의 유사해 보이는 단어들이 다양하게 사용되었고, 개념 정립이 잘 안된 상태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례를 보고서 단어의 의미를 유추하려고 했었습니다. 제가 처음 Digital Transformation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된 것은 GE 때문이었습니다. Smart Factory를 연구하다보니 GE에서 개발한 Predix라는 IIoT 플랫폼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마침 2016년도에 KBS에서 Digital Transformation에 대한 특집 ..

DT나 Smart Factory가 각광을 받기 시작한 것은 Digital 기반의 신기술이 과거에 하지 못했던 일들을 가능하게 해주면서 시작됐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이슈가 생겼을 경우, 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다가 '혹시 이러 이러한 기능을 가진 기술이 있을까?' 하고 찾아보면 그 이슈 해결에 도움이 되는 기술들이 이미 상용화된 제품과 서비스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DT의 영역은 전략, 조직, 비즈니스 모델, Value Chain과 IT역량의 다섯 가지로 구분이 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Value Chain은 DT과제가 적용되는 영역이라고 했습니다. 실제 기술들은 바로 Value Chain에 적용되는 것입니다. 아래 적용 사례들은 실제의 다양한 사례들 중에서 일부만..

지난 글에서 많은 사람들이 Digital Transformation(이하 'DT')을 'IT기반의 혁신'으로 이해한다고 했습니다. 실제로 DT라는 용어를 사용할 경우, 비즈니스 모델의 Transformation에 방점을 두기보다는, '일 하는 방식'의 '변화'나 '전환'에 힘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회사에서 DT라는 용어를 접하게 되면 IT기반의 혁신이나 Digital 기술 기반의 혁신을 의미한다고 이해하시면 큰 무리는 없습니다.저는 Smart Factory를 하다가 DT라는 용어를 처음 접했는데, 매우 혼란스러웠습니다. Smart Factory와 비교해서 DT의 의미가 무엇이고, 어떤 차이와 유사점이 있는지를 잘 몰라서 누가 물어보면 그냥 얼버무린 적도 많았습니다. 머리로는 이해가 되는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