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Transformation Nomad

Value Chain별 신기술 적용 사례 본문

Digital Transformation

Value Chain별 신기술 적용 사례

문학중년 2022. 2. 10. 10:30

  DT나 Smart Factory가 각광을 받기 시작한 것은 Digital 기반의 신기술이 과거에 하지 못했던 일들을 가능하게 해주면서 시작됐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이슈가 생겼을 경우, 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다가 '혹시 이러 이러한 기능을 가진 기술이 있을까?' 하고 찾아보면 그 이슈 해결에 도움이 되는 기술들이 이미 상용화된 제품과 서비스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DT의 영역은 전략, 조직, 비즈니스 모델, Value Chain과 IT역량의 다섯 가지로 구분이 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Value Chain은 DT과제가 적용되는 영역이라고 했습니다. 실제 기술들은 바로 Value Chain에 적용되는 것입니다. 아래 적용 사례들은 실제의 다양한 사례들 중에서 일부만 간소화해서 표현한 자료입니다.

 

  주황색으로 강조된 제조 부분은 Smart Factory 영역임을 표시한 것입니다. 다양한 Digital 기술들이 존재하지만 아래의 예에서는 '빅데이터', 'AI', 'IoT', 'AR/VR', '3D모델링', 'RPA', '블록체인', '로봇', '드론' 등을 보실 수 있는데 실제로는 더 다양한 기술들이 Value Chain 상에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Value Chain별 신기술 적용 사례

  Value Chain상의 기술 적용 흐름을 단순화해서 표현하자면, Digital화된 방식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을 빠르게 반영하여 신제품을 개발하고, 구매 시점을 효과적으로 예측하여 원부자재를 경쟁력 있게 구매하고, 공정 최적화나 예지정비를 통해 생산을 최적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통합된 내외부의 Value Chain을 활용하여 물류를 효율화하고, 고객의 수요나 사후 서비스를 Digital 방식으로 제공하여 만족도를 높이고, 경영전체의 흐름을 자동화하고 직원들의 교육에 AR/VR을 활용할 뿐만 아니라 노하우를 효과적으로 축적시키고자 합니다. 

 

  신기술 적용 사례를 보면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빅데이터나 AI과제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Value Chain을 가리지 않고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 자동화나 지원에 대한 요구사항이 많은 것도 현실입니다. 개인의 경험이나 감각에 의존한 의사결정보다는 무엇인가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입니다. 또한 미래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싶어하는 요구사항들 때문에 예측 등의 과제도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잘 알 수만 있다면 매출향상이나 원가절감 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그 동안은 담당자들의 오랜 경험과 판단에 의해서 주요 의사결정을 해왔지만, 그 한계 또한 명확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현장에서 점점 숙련된 엔지니어들이 퇴직을 하게 되면서 암묵지의 지식들이 다음 세대로 잘 이전되지 않고 있습니다. 숙련된 인력들의 퇴직 이후가 우려가 되기 때문에 그 전에 시스템 기반의 의사결정 체계를 데이터 기반으로 만들어 놓고 싶은 요구사항들도 많습니다.

 

Nvidia EBC(Executive Briefing Center)입니다

 

  세상에는 다양한 신기술들이 있지만, 나의 조직에 맞는 기술을 찾아 내는 것도 능력입니다. 다양한 기술을 찾아보고, 해당 기술이 적용된 사례가 있는지 조사해보고, 필요하면 해당 회사에 벤치마킹해서 실제로 눈으로 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해서 어느 정도 믿음이 갈 때, PoC나 Pilot을 통해서 실제로 검증해 보는 것입니다. 그런 검증 과정을 통해서 본격적으로 도입을 할지, 아니면 다른 기술을 찾아볼지 등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신기술 적용시 유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절대 DT과제 수행의 본질적인 목적을 잊으면 안됩니다. DT과제의 실질적인 목적은 DT기반의 혁신인데 잘못하면 기술 도입하다가 끝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DT과제의 목적이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정최적화인데, 그걸 하기 위해서 빅데이터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할 경우, 공정최적화 과제는 뒤로 밀리고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과제가 메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항상 기술은 도구임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제가 쓴 책 '넥스트 디지털'이 출간되었습니다. 블로그에 포스팅한 내용들이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

 

넥스트 디지털 - 예스24

글로벌 리서치&자문 회사인 가트너가 선정한 한국 최초의 디지털 전환 글로벌 모범 사례 ‘AIDA’ 와 ‘HWADAP’ - 그 개발을 주도한 DT 담당 임원(CIO/CDO)이 알려주는 AI 시대 디지털 전환과 3가지 핵

www.yes24.com

 

<제 유튜브 채널 '정해진tv'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Haejin Jeong TV, 정해진TV

The content is divided into two main sections: Digital Transformation and Travel. -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AI, Cloud, IoT, Blockchain, etc. - Short videos captured during travels. Digital Transformation과 여행 위주의 동영상을 관리합니

www.youtube.com